메뉴

수원시, ‘2022년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’ 결과 28일 공표

‘통계로 보는 수원’홈페이지에 조사 결과 게시
수원 청년1000명 대상으로‘2022년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’
청년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청년주거 관련 정책은‘공공주택 확대’(39.9%), ‘청년 보증·전세금 대출 지원’(37.7%)

[뉴스클리어 = 경기] 박기덕 기자 = 수원시 청년들이 원하는 청년지원 정책은 ‘주거지원’과 ‘취·창업지원’인 것으로 나타났다.

 

 

수원시가 경인지방통계청과 협업해 추진한 ‘2022년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’ 결과에 따르면 수원 청년들은 ‘수원시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길 바라는 청년정책’(1·2순위 합산)으로 ‘주거지원’(72.4%)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. ‘취·창업 지원’(69.0%), ‘복지·문화 지원’(30.0%)이 뒤를 이었다.

 

수원시와 경인지방통계청은 지난 6월 20일부터 7월 7일까지 수원시에 거주하는 만 19~34세 청년 1000명(남자 52.8%, 여자 47.2%)을 대상으로 ‘제1회 수원시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’를 했다. 조사원이 가구를 방문해 ▲주거 ▲교육 ▲문화 ▲일자리 등 12개 부문 50개 항목을 조사했다.

 

청년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청년주거 관련 정책은 ‘공공주택 확대’(39.9%), ‘청년 보증·전세금 대출 지원’(37.7%), ‘청년 전세임대 확대’(12.3%) 등이었다.

 

청년들이 원하는 ‘청년 취업·창업 활성화 정책’은 ‘공공부문 채용 확대’가 26.3%로 가장 많았고, ‘구직·창업 활동 지원금 지급 확대’(25.0%), ‘관내 기업 고용지원 및 신규기업 유치 확대’(22.0%), ‘교육기관 연계 취업 지원 강화’(19.1%) 순이었다.

 

‘행복한 삶의 중요 요건’은 ‘재산, 경제력’을 선택한 청년이 44.8%로 가장 많았고, ‘화목한 가정’ 18.3%, ‘자아 성취, 목표 의식’이 13.0%였다.

 

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‘출산·육아 정책’(1·2순위 합산)으로는 ▲자녀의 교육비·가구 주거비 부담 완화(42.6%) ▲임신·출산 진료비, 출산 장려금 확대(39.7%) ▲육아휴직 장려, 급여 확대(38.9%) ▲출산휴가 장려, 배우자 출산 휴가 확대(33.9%) 등을 선택한 청년이 많았다.

 

청년의 65.2%는 ‘주거환경에 만족한다’고 답했고, 주거환경 불만족 이유는 ‘거주 공간 협소성·낙후성’이 25.4%로 가장 많았다. 부채가 있는 청년은 35.4%였고, 부채의 주원인은 ‘주택 임차·구입’(48.5%)이었다.

 

수원시는 조사 결과를 수원시 청년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. ‘2022년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’ 결과는 ‘통계로 보는 수원’ 홈페이지(https://www.suwon.go.kr/stat/index.do)에서 볼 수 있다.

배너

지방자치

더보기

사회

더보기
경기도교육청, 학생자치회와 함께하는 ‘2021년 평화ㆍ통일 주간’ 운영
[뉴스클리어 = 경기] 박기덕 기자 = 경기도교육청이 24일부터 31일까지 ‘2021년 평화ㆍ통일 주간’을 운영한다고 밝혔다.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‘학생으로부터 시작하는 평화・통일 주간’을 중점 추진한다. 이는 2020년 시흥청소년교육의회가 제안한 ‘평화・통일의 날’운영 내용을 받아들여 도내 초・중・고 모든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. 시흥 배곧고등학교 학생자치회와 평화리더반 학생들이 주도해 마련한 ‘평화・통일 주간’내용은 ▲Let’s평화 방탈출, ▲‘하나’된 우리의 이모티콘, ▲행시의 신, ▲유 퀴즈! 온 더 코리아, ▲평화틱톡챌린지이다. 도교육청은 이 밖에도 각종 교수・학습자료와 콘텐츠를 각 학교에 안내해 학교별 교육과정과 연계하고 학생자치회와 동아리 중심으로 평화・통일 주간을 다채롭게 운영토록 했다. 도교육청 강심원 민주시민교육과장은 “우리 학생들이 기획하고 주도하는 첫 평화ㆍ통일 주간이라는 점에서 올해 평화ㆍ통일 주간의 의미가 더욱 크다”면서, “평화・통일 시대를 열어갈 주체로서 학생들이 삶에서 평화 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”이라고 강조했다. 한편, 통일교육주간은 2013년부터 해마다 5월 넷째 주에 운영해 올해로 9회째